성인학습 및 상담 4번째.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의사결정 모형 파트 공부한 내용 정리.
밀러(Miller)의 힘-장(force-field) 모형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론을 이용하여 각 생애 단계별로 학습욕구를 설명함.
- 생애초기 – 물리적인 생존, 안전 및 애정의 기본 욕구
- 중년 혹은 노년기 – 자아실현
레빈(Lewin)의 ‘동인(drive)’과 ‘억제력(restriction)’ 근거함.
즉, 동인이 억제력을 이길 때 학습에 참여하고, 반대일 때는 미참여함.
시사점
- 높은 사회 계층들이 고도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학습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음.
- 낮은 사회계층의 욕구는 맹목적인 생존욕구와 관련되고, 이들의 교육욕구는 직업 및 노동시장과 연계됨.
밀러 모형의 한계
중간계층의 교육 비참여 현상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부정적인 면을 설명 못 함.
루벤손(Rubenson)의 기대-가치 모형
교육참여는 기대(expectancy)와 가치(valence) 사이에 상호작용을 함.
‘현재의 요구‘와 환경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받음.
현재 환경 기준에 의한 의사결정으로 보는 ‘탈 역사적‘ 모형 제시.
합리성의 형태로 성인교육참여 행위를 다루고 있음.
이전 경험과 현재 경험의 결합방식에 대해서 설명이 부족함.
참여의 동기형성과 강화는 환경요인뿐만 아니라 긍정적 인식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함을 설명함.

보셔의 자아환경 일치 모형
결핍충족 지향적인 동기를 지닌 사람
→ 낮은 수준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교육활동에 참여
→ 사회적·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음
성장 지향적인 동기를 지닌 사람
→ 내재적, 자율적이며 새로운 환경에 대한 개방과 자유 지향
시사점
① 중도 탈락자를 대상으로 자신의 가설이 설득력 있음을 검증
②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검증 시도X
③ 중도 탈락자와 미참여자를 동일시하였음
④ ‘사람‘이라는 환경과의 일치성이 부족할 때 교육에 대한 참여 가능성 ↓
크로스의 반응연쇄 모형

다켄월드와 메리엄의 심리사회적 상호작용 모형

이상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의사결정 모형 파트 정리.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