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학습 및 상담 7번째. 안드라고지의 출현 파트 공부한 내용 정리.

페다고지(pedagogy)

대표적인 교육학 용어로 가르침에 대한 이론 ·방법·철학으로 특히 어린이를 위한 교육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 pais(아이)ago(지도하다)의 합성어. 어린이를 지도한다.

교육실천의 핵심이며, 학습이론과 사상에 대한 학문적인 통찰과 지식의 직관적·방법론적 활용에 관한 것이다.

페다고지(pedagogy)

  • 아동 대상 교육 분야는 학습해야 할 바람직한 지식과 기술, 태도 등을 규정하고 효율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교수자의 역할
  •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을 체계적으로 숙달시키는 것
  • 주도적인 교수자 역할(성숙한 성인)
  • 학교 : 아동에게 필요하는 다양한 능력을 습득하는 공인된 사회 제도
  • 아동기(교육에 집중하는 시기)와 성인기(학습 내용 소비하는 시기) 구분

안드라고지의 출현 배경

학교를 교육의 중심, 학습대상을 아동, 청소년으로 인식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교육의 장면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학교교육 이후의 시기를 살아가는 성인의 존재 인식

과연 아동·청소년 학습자 대상 이론으로 성인에게도 적용이 가능할까?
→ 성인들의 학습을 설명하는 독자적인 학습 원리가 필요하다.

생존기간의 증가로 사회의 변화를 접할 가능성 높아짐.
ex)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아동기 때 배운 내용만으로 사회생활 적응에 한계가 있음.

따라서 새로운 변화에 대해 적응하는 노력이 필요함.

하지만 기존의 아동을 가르치는 원리와 방법을 성인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 제기.

안드라고지(andragogy)의 개념

놀스(K. Knowles)의 성인교육의 현대적 실천에서 제안.

안드로스(andros, 성인)와 아고고스(agogus, 지도하다, 이끌다)의 합성어

페다고지의 대비되는 개념으로 설명

  • 페다고지(pedagogy) = 티칭teaching children
  • 안드라고지(andragogy) = 헬핑helping adults learn

교육전문가로서 권위를 가지고 미성숙한 학습자를 가르치는 방법은 성인학습자에게 효과적이지 않음

성인학습자는 성숙한 존재이며, 자립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

아동을 가르치는 방법과 구별되는 원리로서 안드라고지 제안함.

그래서 초기에는 안드라고지가 우월하며 좋은 교육 방법으로 설명함

페다고지와 상호 배타적인 개념으로 간주함.

그러나 이후 크로스프랫은 안드라고지와 페다고지 모두 학습자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명해야 하는 교육원리라고 주장함.

일라이어스매켄지도 안드라고지를 통해서 교육의 일반적 개념을 구분하는 시도 자체가 잘못됐다고 주장함.

이에 따라 놀스도 1980년, 이름을 페다고지 안드라고지에서 페다고지에서 안드라고지로 부제 수정함.

그렇게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를 연속상의 개념으로 소개함.

또 아동과 성인의 구분없이 학습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학습실행을 돕는 원리이자 가정으로 설명함.

즉, 경우에 따라 성인이더라도 페다고지 방법이 적합할 수 있고, 아동에게도 안드라고지 방법이 더 적절할 수 있음.

학습자 개인의 발달적 특성, 과제에 대한 준비도, 사회적 역할에 따라 정해야 함.

페다고지적 특정이 강조되는 접근(교수자의 역할 강조), 안드라고지적 특징이 강조되는 접근(학습자의 주도성 보장)을 나누어 보아야 함.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

페다고지

학습자의 관심 및 이해 X, 강제적인 출석 전제

아동의 자기개념: 성인의 지도가 필요한 의존적인 미성숙한 존재

교수자는 많은 지식을 지니고 있으며,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역할

아동의 인생경험은 학습과정에서 가치 X

교수자의 축적한 지식 및 경험은 매우 중요한 학습자원

교수자는 학습내용과 학습과정을 결정하는 존재

교육은 미래를 위한 준비, 학습자는 미래를 준비하는 존재

교수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학습내용 통제

학습자가 학습교재에 느끼는 감정 배제, 학습성과 집중

학습자 스스로 자기평가 X

안드라고지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 학습자 욕구 충족

성인의 자기개념: 성숙하고 독립적인 인간

학습자는 교수자 및 타학습자와 상호적인 관계

성인의 인생경험은 학습과정에서 가치 ○

교수자 및 학습자의 경험 모두 가치 ○

학습자가 학습 내용 및 학습과정 결정

교육은 현재의 문제해결을 위한 과정

교수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학습과정 지도

학습자가 학습내용과 학습과정에 느끼는 감정 고려

학습자 스스로 자기평가 ○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